코딩/백준

[백준]1261번 알고스팟 - C++

최선을 다하는 2022. 11. 3. 16:47
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261

 

1261번: 알고스팟

첫째 줄에 미로의 크기를 나타내는 가로 크기 M, 세로 크기 N (1 ≤ N, M ≤ 100)이 주어진다. 다음 N개의 줄에는 미로의 상태를 나타내는 숫자 0과 1이 주어진다. 0은 빈 방을 의미하고, 1은 벽을 의미

www.acmicpc.net

문제

알고스팟 운영진이 모두 미로에 갇혔다. 미로는 N*M 크기이며, 총 1*1크기의 방으로 이루어져 있다. 미로는 빈 방 또는 벽으로 이루어져 있고, 빈 방은 자유롭게 다닐 수 있지만, 벽은 부수지 않으면 이동할 수 없다.

알고스팟 운영진은 여러명이지만, 항상 모두 같은 방에 있어야 한다. 즉, 여러 명이 다른 방에 있을 수는 없다. 어떤 방에서 이동할 수 있는 방은 상하좌우로 인접한 빈 방이다. 즉, 현재 운영진이 (x, y)에 있을 때, 이동할 수 있는 방은 (x+1, y), (x, y+1), (x-1, y), (x, y-1) 이다. 단, 미로의 밖으로 이동 할 수는 없다.

벽은 평소에는 이동할 수 없지만, 알고스팟의 무기 AOJ를 이용해 벽을 부수어 버릴 수 있다. 벽을 부수면, 빈 방과 동일한 방으로 변한다.

만약 이 문제가 알고스팟에 있다면, 운영진들은 궁극의 무기 sudo를 이용해 벽을 한 번에 다 없애버릴 수 있지만, 안타깝게도 이 문제는 Baekjoon Online Judge에 수록되어 있기 때문에, sudo를 사용할 수 없다.

현재 (1, 1)에 있는 알고스팟 운영진이 (N, M)으로 이동하려면 벽을 최소 몇 개 부수어야 하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
입력

첫째 줄에 미로의 크기를 나타내는 가로 크기 M, 세로 크기 N (1 ≤ N, M ≤ 100)이 주어진다. 다음 N개의 줄에는 미로의 상태를 나타내는 숫자 0과 1이 주어진다. 0은 빈 방을 의미하고, 1은 벽을 의미한다.

(1, 1)과 (N, M)은 항상 뚫려있다.

출력

첫째 줄에 알고스팟 운영진이 (N, M)으로 이동하기 위해 벽을 최소 몇 개 부수어야 하는지 출력한다.


시작 ~ 끝점 사이의 최소 거리를 구하는 문제이다. 별도의 인접 행렬을 저장하지 않고 상하좌우의 dist배열 값을 비교해보며 최신화를 한다.

#include <iostream>
#include <queue>
using namespace std;
typedef pair<int,int> point;

#define INF 987654321

int M, N;
int mat[101][101];
int dist[101][101];
int dx[4] = {1,-1,0,0};
int dy[4] = {0,0,1,-1};

int dij(){
    int pos=0;
    priority_queue <point, vector<point>,greater<point> > pq;
    pq.push(make_pair(0,0));
    dist[0][0] = 0;
    while(!pq.empty()){
        int cost = pq.top().first;
        int curx = pq.top().second / M;
        int cury = pq.top().second % M;
        pq.pop();
        if(cost > dist[curx][cury]) continue;
        for(int k = 0 ; k < 4 ; k++){
            int nextx = curx + dx[k];
            int nexty = cury + dy[k];
            if(nextx >= 0 && nextx < N && nexty >= 0 && nexty < M){
                int next_cost = cost + mat[nextx][nexty];
                if( next_cost < dist[nextx][nexty]){
                    dist[nextx][nexty] = next_cost;
                    pq.push(make_pair(next_cost, nextx * M + nexty));
                }
            }
        }
    }
    return dist[N-1][M-1];
}

int main (){
    cin >> M >> N;
    for(int i = 0 ; i < N ; i++){
        for(int j = 0 ; j < M ; j++){
            scanf("%1d",&mat[i][j]);
        }
    }
    for(int i = 0 ; i < N ; i++){
        for(int j = 0 ; j < M ; j++){
            dist[i][j] = INF;
        }
    }
    cout << dij();
}

   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을 풀고 있는데 살짝씩 다른 포인트를 가지고 있는 것이 신기하다. 이번에는 이차원 배열에서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을 활용하는 것이 포인트였던 것 같다. 문제마다 cost로 어떠한 값을 설정하여야 하는지를 주의하여야 하는 것 같다!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은 볼 때마다 까먹었는데 연속으로 이렇게 푸니 많이 익숙해진 것 같다.